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코틀린
- 유니티
- 한글
- 코딩학습
- Apple
- programmers
- 영상편집
- DaVinci Resolve
- SQL
- 애플
- 아이패드
- neo4j
- Tutorial
- 윈도우10
- iPad
- 윈도우
- graph DB
- kakao
- Python
- spring
- json
- Kotlin
- unity
- 녹화프로그램
- 튜토리얼
- 스프링
- 파이썬
- 프로그래머스
- 아이폰
- AWS
- Today
- Total
목록에러 (2)
코드짜는 노인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zIsk1/btssUcGiphw/313ddhcxDcBj3BZimQHuNK/img.png)
[Stable Diffusion]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tqdm.auto' 해결방법 AI 영상을 만들어보기 위해 'TemporalKit'라는 확장프로그램을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에 설치를 하고 있는데, 위의 사진과 같이, 모듈을 찾을 수 없다는 에러가 발생을 하였습니다. 정말 오랜만에 하는 '파이썬'이다보니, '뭐가 문제인가...'라는 생각에 일단 파이썬 모듈을 먼저 설치하기 위해 'CMD'를 실행해 다음의 명령어를 실행했습니다. pip install tqdm 컴퓨터를 포맷하고, 파이썬을 새로 설치를 했다보니, 추가 모듈이 필요하다 생각을 해서 설치를 진행했습니다. 허나.. 에러가 없어지지 않네요;;; 이럴때는 구글링이 최고죠? 검색..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XBcR/btrLLWrI6F9/Pr3MMrM4O4OJy6amnHI1LK/img.png)
[트러블 슈팅] docker 로컬 VS AWS 환경에 대한 문제점 최근에 도커를 많이 사용할 일이 많아졌습니다. redis, ubuntu, neo4j 등을 사용하는데, docker 만큼 유용한 프로그램은 없을것으로 생각하는데요. 특히, AWS에서 ubuntu로 생성된 EC2 인스턴스에 docker를 설치한 다음, neo4j를 사용해야될 일이 생겼습니다. 물론, AWS에서 별도로 neo4j를 지원해주는것은 알고 있지만, 결국에는 돈이... 문제이기 때문에, EC2 인스턴스에 docker에 neo4j를 생성해서 사용을 해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컴퓨터 로컬에도 docker를 설치후, neo4j를 사용해보고 있습니다. 여기서 어떤 설정을 잘못했는지, 로컬에 설치되어있는 컨테이너 생성시에, neo4j의 플러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