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 학습/Kotlin(코틀린)
[Kotlin] 자료형 종류 - 정수형,실수형
ikohong
2021. 3. 11. 05:26
728x90
반응형
[Kotlin] 자료형 종류 - 정수형,실수형
- 자료형 (정수형, 실수형) 의 크기 와 값의 범위
정수형
예시
/* 자료형 생략시 */
val a = 127 // Int형으로 자동 지정
val b = -32767 // 값의 범위는 Short이지만 Int형으로 자동 지정
val c = -134217728 // Int형으로 자동 지정
val d = 34359738368 // Long형으로 자동 지정
/* 자료형 지정시 */
val e: Byte = 50 // 자료형을 Byte로 지정
val f: Short = 32767 // 자료형을 Short로 지정
/* 부호 없는 정수 자료형 */
val ubyte: UByte = 123u
val ushort: UShort = 32000u
val uint: UInt = 134217728u
val ulong: ULong = 34359738368uL
/* 큰 수의 경우 읽기 쉽게 하기위해 언더스코어(_)를 수에 포함시킬수 있다. */
val Num = 1_234_567 // 1,234,567 을 작성하듯이, 쉼표대신 언더스코어를 사용
val hex = 0xAB_CD_EF_12 // 16진수 표현 방법
val byte = 0b1100_1001_0001 // 2진수 표현방법
실수형
- 코드상의 표기법은 '1.23E+5'이지만, 일반 수학의 표현방식은 1.23 x 10의 5승 으로 표현이 됩니다.
- 1.23E 에서 E는 e로도 표현이 가능합니다.
- 1.23E+5 에서 +는 생략이 가능하며, 5는 이동할 자릿수를 의미합니다.
예시
/* Double, Float 작성법 */
val a = 3.14 // Double형으로 지정 (기본)
val b = 3.14F // Float형으로 지정 (식별자 F)
728x90
반응형